맞추다 / 맞히다,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?
"친구야 함께 답을 맞춰/맞혀 보자." "이 문제는 네가 맞췄고/맞혔고 내가 틀렸네."
주어진 예문에서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?
맞추다와 맞히다, 두 표현의 의미와 사용법을 알아보고 익혀 봅시다. 맨 아래 연습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니 꼭 풀어보세요!
의미 알아보기
먼저 각 표현의 의미를 알아봅시다.
'맞히다'는 '맞다'의 사동사입니다.
맞다1[Ⅰ] 「동사」
|
반면 '맞추다'는 '맞다'와는 관련이 없는 별개의 단어입니다.
맞추다「동사」1【…을 …에】【 …을 (…과)】 ((‘…과’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목적어로 온다))2【(…과) …을】【 …을 (…과)】 ((‘…과’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나 목적어로 온다))
|
의미 요약
두 표현이 비슷하게 생겨서 헛갈리지요?
간단히 이야기하면,
'맞히다'는 옳고 그름 두 가지 중 '옳은 것⭕'을 찾음. 틀리지 않음.
'맞추다'는 서로 떨어져 있던 것의 '제 짝'을 찾아주는 행동입니다.
예문 확인
친구야 함께 답을 맞춰/맞혀 보자.
해설: '맞추다'가 맞습니다. 각 문제의 '제 짝'을 찾아주는 행동을 하고 있으니까요. 1번 문제는 정답지에서 제 짝인 1번 답을, 2번 문제는 정답지에서 제 짝인 2번 답을 찾아주는 행동을 하는 상황이지요.
그 짝을 찾은 결과 문제가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으니 '맞히다'는 아닙니다.
이 문제는 네가 맞췄고/맞혔고 내가 틀렸네.
해설: '맞히다'가 맞습니다. 틀리지 않은 것, 즉 옳은 것인 정답을 찾았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.
외우는 방법
옳은 것, 즉 틀리지 않은 것에는 동그라미⭕를 치지요? '맞히다'라는 단어에는 동그라미가 들어 있습니다.
또한 '맞히다'는 '맞다'에서 온 말임에 미루어 볼 때, 해당 자리에 '맞다'를 넣어 어울리면 '맞히다'를 사용하면 됩니다.
예) 아이에게 주사를 맞혔다/ 맞췄다.
주사를 맞다(어울림)✅ => 주사를 맞혔다/맞췄다.
예) 짝을 맞혀/맞춰 봐.
짝을 맞다(어색함)❎ => 짝을 맞혀/맞춰 봐.
[연습 문제]
같이 보면 좋은 글
2022.11.22 - [우리말 우리글] - [띄어쓰기]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(연습문제 포함!)
2023.02.27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
2022.12.30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새삼 VS 세삼
2022.11.23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단출하다 VS 단촐하다
2022.11.22 - [우리말 우리글] - [띄어쓰기]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
2023.02.27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
2023.01.29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로서 VS 로써 | 상황에 맞는 사용법 완벽정리(연습문제 포함!)
'우리말 우리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띄어쓰기] 야심차다 VS 야심 차다 (0) | 2025.05.02 |
---|---|
[띄어쓰기] 그중 VS 그 중(연습문제 포함!) (0) | 2025.04.20 |
[맞춤법] 설거지 VS 설겆이 (2) | 2025.03.07 |
[맞춤법] 들어나다 VS 드러나다 (0) | 2023.03.15 |
[맞춤법] 몇일 VS 며칠 (0) | 2023.02.2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