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우리말 우리글

[맞춤법] 맞추다 vs 맞히다(연습문제 포함!)

by ( •̀ ω •́ )✧... 2025. 4. 27.
반응형

맞추다 / 맞히다,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?

"친구야 함께 답을 맞춰/맞혀 보자." "이 문제는 네가 맞췄고/맞혔고 내가 틀렸네."

 

주어진 예문에서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?

맞추다와 맞히다, 두 표현의 의미와 사용법을 알아보고 익혀 봅시다. 맨 아래 연습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니 꼭 풀어보세요!

 

의미 알아보기

먼저 각 표현의 의미를 알아봅시다.

 

'맞히다'는 '맞다'의 사동사입니다.

  • 맞-히다1 「동사」 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. ‘맞다’의 사동사.
  • 맞-히다2 「동사」 「1」 자연 현상에 따라 내리는 눈, 비 따위를 닿게 하다. ‘맞다’의 사동사.
  • 맞-히다3 「동사」 침, 주사 따위로 치료를 받게 하다. ‘맞다’의 사동사

    출처: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

맞다1

[Ⅰ] 「동사」

  • 「1」문제에 대한 답이 틀리지 아니하다.
    • 네 답이 맞는다.
    • 과연 그 답이 맞는지는 더 생각해 보기로 하자.
    • 네가 쓴 답이 맞았길 바란다.
  • 「2」말이나 생각 따위가 틀리지 아니하다.
    • 옛날 속담이 맞는 경우가 아직도 꽤 많다.
    • 내 육감은 잘 맞는 편이다.
    • 이 책은 역사적 사실에 맞는 내용을 담고 있다.
    • 오래된 일이라 내 기억이 정말 맞는지 잘 모르겠다.
    • 그것 봐라, 내 말이 맞았지?

      출처: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

 

 

반면 '맞추다'는 '맞다'와는 관련이 없는 별개의 단어입니다.

맞추다

발음[맏추다]활용맞추어[맏추어](맞춰[맏춰]), 맞추니[맏추니]

「동사」

1【…을 …에】【 …을 (…과)】 ((‘…과’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목적어로 온다))

  •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.
    • 문짝을 문틀에 맞추다.
    • 떨어져 나간 조각들을 제자리에 잘 맞춘 다음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였더니 새것 같았다.
    • 깨진 조각을 본체와 맞추어 붙이다.
    더 보기

2【(…과) …을】【 …을 (…과)】 ((‘…과’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나 목적어로 온다))

  • 「1」((주로 ‘보다’와 함께 쓰여))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.
    • 나는 가장 친한 친구와 답을 맞추어 보았다.
    • 여자 친구와 다음 주 일정을 맞추어 보았더니 목요일에만 만날 수 있을 것 같다.
    • 시험이 끝나면 아이들은 서로 답을 맞추어 보느라고 정신이 없었다.
    더 보기
  • 「2」서로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루다.
    • 다른 부서와 보조를 맞추다.
    • 반장 오재철이와 신 참위는 앞뒤로 서서 행군의 자세를 교정해 가며 구령을 불러서 발을 맞추게 한다.≪이기영, 봄≫
    • 우리는 합숙을 하면서 서로 마음을 맞추었다.



      출처: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

 

 

 

 

의미 요약

두 표현이 비슷하게 생겨서 헛갈리지요?

간단히 이야기하면,

 

'맞히다'는 옳고 그름 두 가지 중 '옳은 것'을 찾음. 틀리지 않음.

 

'맞추다'는 서로 떨어져 있던 것의 '제 짝'을 찾아주는 행동입니다.

 

예문 확인

친구야 함께 답을 맞춰/맞혀 보자.

 

해설: '맞추다'가 맞습니다. 각 문제의 '제 짝'을 찾아주는 행동을 하고 있으니까요. 1번 문제는 정답지에서 제 짝인 1번 답을, 2번 문제는 정답지에서 제 짝인 2번 답을 찾아주는 행동을 하는 상황이지요.
그 짝을 찾은 결과 문제가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으니 '맞히다'는 아닙니다.

 

이 문제는 네가 맞췄고/맞혔고 내가 틀렸네.

 

해설: '맞히다'가 맞습니다. 틀리지 않은 것, 즉 옳은 것인 정답을 찾았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.

 

외우는 방법

 

옳은 것, 즉 틀리지 않은 것에는 동그라미를 치지요? '맞히다'라는 단어에는 동그라미가 들어 있습니다.

 

Tip

 

 

또한 '맞히다'는 '맞다'에서 온 말임에 미루어 볼 때, 해당 자리에 '맞다'를 넣어 어울리면 '맞히다'를 사용하면 됩니다.

 

예) 아이에게 주사를 맞혔다/ 맞췄다.

주사를 맞다(어울림)✅  => 주사를 맞혔다/맞췄다.

 

예) 짝을 맞혀/맞춰 봐.

짝을 맞다(어색함)❎ => 짝을 맞혀/맞춰 봐.

 

 

 

 

[연습 문제]

1. 짝 ( 맞혀 / 맞춰 ) 줄지어 나아 가자.
2. 너 퍼즐 진짜 잘 ( 맞힌다 / 맞춘다 ).
3. 이 음식 어디서 사 온 건지 ( 맞혀 / 맞춰 ) 봐.
4. 시간 좀 잘 ( 맞혀서 / 맞춰서 ) 와라.
5. 과녁을 정확히 ( 맞혔다 / 맞췄다).

 

같이 보면 좋은 글

2022.11.22 - [우리말 우리글] - [띄어쓰기]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(연습문제 포함!)

2023.02.27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

2022.12.30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새삼 VS 세삼

2022.11.23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단출하다 VS 단촐하다

2022.11.22 - [우리말 우리글] - [띄어쓰기]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

2023.02.27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

2023.01.29 - [우리말 우리글] - [맞춤법] 로서 VS 로써 | 상황에 맞는 사용법 완벽정리(연습문제 포함!)

반응형

댓글